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케데헌 이후 확장되는 K-Culture 여행 상품 트렌드 (5)

by 모두 다 함께 2025. 9. 10.

김치

 

한류의 세계적 영향력은 더 이상 특정 팬덤에 국한되지 않는다. 케이팝 콘서트, 드라마 촬영지 투어,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체험 프로그램까지, 이제는 여행문화 소비가 결합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케이팝 덕후 투어(케데헌, K-Drama & K-Pop Enthusiast Tour)”를 중심으로 시작된 흐름이 K-Food, K-Beauty, K-Lifestyle로 확장되면서 여행사들의 상품 구성에도 큰 변화를 불러왔다.

 

케이팝 상품 설명

1. 케이팝 중심에서 K-Culture 패키지로 확장

과거 K-Culture 여행 상품은 주로 특정 아이돌 그룹 콘서트 관람이나 팬미팅 참여에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콘서트 일정이 없더라도 한국의 음악·패션·라이프스타일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기획되고 있다.

 

K-Pop 체험 : 기획사 연습생 댄스 클래스, 뮤직비디오 촬영 스튜디오 방문, 팬 사인회 참여권 포함 상품.

K-Drama 투어 : 드라마 촬영지(남이섬, 경복궁, 한강, 전주 한옥마을) 탐방과 함께 현지 음식 체험을 묶은 일정.

K-Fashion & Beauty 체험 : 명동, 홍대, 성수동 등에서 뷰티 클래스, 한정판 굿즈 쇼핑 코스 제공.

여행객들은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직접 참여하고 기록할 수 있는 경험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이런 체험형 상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2. Z세대와 밀레니얼을 겨냥한 맞춤형 콘텐츠

케이팝 팬덤은 이제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다. 특히 Z세대는 SNS 공유가 필수적인 여행객층으로, 여행사들은 인스타그래머블 포인트를 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서울의 핫플 카페 투어

아이돌이 즐겨 찾는 음식점 방문

유명 유튜버·틱톡커가 촬영한 장소 코스

여기에 개별 여행객의 자유도를 높여 세미 패키지형 상품(숙박+체험 1~2개 포함 후 나머지는 자유 일정)도 늘고 있다. 이는 패키지 여행의 안전성과 자유여행의 유연성을 결합한 형태다.

 

3. 지방 도시와 연계된 K-Culture 상품

K-Culture 여행이 서울에 집중되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지방 도시로 확산되는 추세다.

부산 : BTS 콘서트 개최 이후 아미 투어로 재조명. 해운대·영도 카페촌·자갈치 시장 연계.

전주 : 전통과 K-Drama 배경지가 결합한 여행지로 인기.

강릉 : 드라마 도깨비’, ‘사랑의 불시착촬영지로 해외 팬들이 찾는 명소.

이는 지방 관광 산업에도 활력을 불어넣고, 지자체 차원에서도 K-Culture 관련 인프라를 적극 지원하는 흐름을 만들고 있다.

 

4. K-Food & K-Lifestyle 체험의 부상

최근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에서 꼭 하고 싶어하는 활동 중 하나가 음식과 라이프스타일 체험이다.

K-Food 클래스 : 김치 담그기, 불고기 만들기, 한식 쿠킹클래스.

K-Café 투어 : 드라마에 등장한 카페, 아이돌 협업 카페, 디저트 명소 방문.

K-Lifestyle 체험 : 한복·한글 캘리그라피, 전통 공예 클래스 참여.

이러한 체험은 단순히 여행의 즐거움뿐 아니라 문화 이해를 목적으로 하기에 체류 만족도가 높고, 재방문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5. 메타버스·XR과 결합한 차세대 여행 상품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온라인 콘서트, 메타버스 팬미팅이 보편화되었다. 이제는 현지 체험 + 디지털 콘텐츠를 결합한 신개념 여행 상품도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방문객이 실제로 기획사 건물 앞을 방문한 뒤, 가상 공간에서 아이돌과 팬미팅을 체험하거나, 드라마 세트장을 XR 기술로 재현해 보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팬들에게 물리적·디지털 체험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여행사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협업 강화

K-Culture 여행 상품은 단순한 관광 상품이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긴밀히 연결된 영역이다. SM, YG, HYBE 같은 대형 기획사는 자체적으로 팬 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항공사·호텔과 제휴 상품을 내놓고 있다. 또한 지자체와 함께 관광 캠페인을 진행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

항공사 특가 항공권 + 콘서트 티켓 패키지

호텔 숙박 시 팬미팅 초청 이벤트 제공

지방 축제와 아이돌 공연 결합

이런 콜라보레이션은 여행객에게 특별한 가치를 제공하고, 기업과 지역 모두에게 이익을 창출한다.

 

앞으로의 전망

케데헌으로 시작된 K-Culture 여행 상품은 앞으로 더 세분화될 전망이다. 단순한 팬덤 중심을 넘어 한국 문화 라이프스타일을 직접 체험하는 여정으로 확장될 것이다. 특히 Z세대는 실시간으로 경험을 공유하며 여행의 가치를 증폭시키기에, K-Culture 여행은 향후 몇 년간 꾸준히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